[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7:07
본문
Download :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hwp
설명
reference(자료)제목 :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
개념,정의,특징,특성
이 實驗(실험) 장치에 막 기기 시작한 영아를 엎어 두고 절벽 끝에서 어머니가 앉아서 아기를 부르도록 하였을 때, 길 수 있는 연령에 다다른 7개월의 영아들 대다수는 시각절벽 앞에서 기기를 멈추고 머뭇거리는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7개월의 영아도 깊이지각능력이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다.
자료제목 :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물을 잡기 위해서는 영아는 깊이에 대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첫 6개월에 걸쳐 움직이는 물체에 눈을 고정하고 그 움직임을 추적하는 능력도 계속 증진된다. 이러한 實驗(실험) 결과, 깁슨(Gibson)등은 기어 다닐 수 있는 연령의 아기들은 말은 곳과 깊은 곳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해 보이는 곳으로 오려고 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
같은 월령의 영아들을 비교했을 때, 기지 못하는 영아들과는 달리 기어 다니는 영아들은 시각 벼랑의 깊은 면에 있을 때 경계심을 더 많이 나타냈다.
또한 유모차를 더 많이 타고 다닌 영아가 그렇지 않은 영아
순서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에 대한 리포트 reference(자료)입니다. 생후 7-8개월이 되면 환경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지각능력인 시각은 눈과 두뇌의 급속한 성숙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1년이 되면 성인의 수준과 비슷해진다. 일반적으로 깊이지각은 자신의 움직임이나 다른 물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양쪽 눈에 들어온 상을 조정함으로써, 그리고 진하거나 흐림 또는 크기나 선을 사용한 원근을 통해서 한 쪽 눈으로 가까운 것과 먼 것, 그리고 깊이를 지각한다.
...(이하 본문 참조)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764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5/%5B%EC%98%81%EC%95%84%EA%B8%B0%20%EC%A7%80%EA%B0%81%EB%B0%9C%EB%8B%AC%5D%20%EC%8B%9C%EA%B0%81%EB%B0%9C%EB%8B%AC%20-%20%EC%98%81%EC%95%84-7642_01.jpg)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764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5/%5B%EC%98%81%EC%95%84%EA%B8%B0%20%EC%A7%80%EA%B0%81%EB%B0%9C%EB%8B%AC%5D%20%EC%8B%9C%EA%B0%81%EB%B0%9C%EB%8B%AC%20-%20%EC%98%81%EC%95%84-7642_02_.jpg)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764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5/%5B%EC%98%81%EC%95%84%EA%B8%B0%20%EC%A7%80%EA%B0%81%EB%B0%9C%EB%8B%AC%5D%20%EC%8B%9C%EA%B0%81%EB%B0%9C%EB%8B%AC%20-%20%EC%98%81%EC%95%84-7642_03_.jpg)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764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5/%5B%EC%98%81%EC%95%84%EA%B8%B0%20%EC%A7%80%EA%B0%81%EB%B0%9C%EB%8B%AC%5D%20%EC%8B%9C%EA%B0%81%EB%B0%9C%EB%8B%AC%20-%20%EC%98%81%EC%95%84-7642_04_.jpg)

깊이지각은 안전과 생존에 필수적인 능력으로, 사물과 사물 사이의 거리, 또는 자신과 사물의 거리를 이해하고 이동하는 행동을 하는 데 중요하다.
I. 깊이지각
출생 시 영아의 시력은 시각 조절에 필요한 뇌 회로가 충분히 성숙해 있지 않아 시력이 매우 약한 편이다.
Download :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hwp( 16 )
[영아기 지각발달] 시각발달 - 영아의 깊이지각과 형태지각
영아의 깊이지각에 대한 연구로 깁슨과 워크(Gibson & Walk, 1960)의 시각절벽 實驗(실험)은 아주 유명하다. 깊이지각은 나중에 영아가 기는 것을 배울 때 가구에 부딪치거나 계단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시각절벽 장치는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에는 유리 바로 아래 격자무늬 천을 유리 바로 밑에 깔거나 아래 쪽 깊은 곳에 깔아 시각적으로 깊이가 지각되도록 만들었다.
시각 체계는 생후 몇 달이 지나면 급속하게 성숙되므로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나 색을 지각하는 능력이 부족했던 신생아기에 비해 3개월에는 성인과 같은 수준으로 한 대상에 대해 초점을 모을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