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사평가 논란 재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4:52본문
Download : 초등학교 교사평가 논란 재분석.hwp
평가 내용과 방법
교사 능력 개발 목적의 평가일 경우는 평가 내용을 학습지도, 생활지도를 포함한 학급경영 등 학생 교육력에 초점을 두어 평가 내용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이 어떤 활동들을 얼마나 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평가기준을 구체화하여야 할 것이다. 논의와 합의 과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 교사들은 이를 교사 통제를 위한 수단으로만 인식하게 될 것이고, 그 경우 원하는 목적 달성은 어려워질 것이다(이석순, 2004: 60).
3. 관련 제도 보완책: 부적격 교사 문제
최근 교사 평가와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부적격 교사 퇴출 문제이다. 다만 학교행정가로서의 직무 수행과 직접 관련성이 없는 일부 점수 제도는 줄여야 할 것이다. 평가 방법과 관련하여 논의가 필요한 영역은 절차(준비 절차 포함), reference(자료) 수집 방법(기록, 관찰, 면담, 설문 조사 등), 수집된 reference(자료)의 평정을 위한 기준, 평가대상자의 변화 정도에 대한 평가 방식 등이다. 그러나 학교행정가로의 승진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의 평가 경우 앞에서 分析(분석)한 것처럼 학생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을 현행보다 약간 높이되, 그렇다고 해서 현행의 다른 항목을 없애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교사 평가의 reference(자료)원으로는 학생의 opinion(의견), 동료평가 reference(자료), 학생의 성취, 교사의 검사 reference(자료), 학부모의 opinion(의견), 전문적 활동 기록, 체계적 관찰 reference(자료), 행정기록문서, 교육과정 구성자로서의 교사 역할, 교사의 각종 자격 기록 등이 있다아 평가 내용과 reference(자료)원을 결정할 때 앞에서 밝힌 것처럼 교사직무수행 기준이 먼저 만들어져야 하고,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상으로하여도 교사들과의 논의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합의에 이르러야 할 것이다.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초등교사평가전체






Download : 초등학교 교사평가 논란 재분석.hwp( 75 )
우리 상황에 적합한 초등교사 평가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의 교사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이어서 현행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초등교사평가전체 , 초등학교 교사평가 논란 재분석사범교육레포트 ,
초등학교 교사평가 논란 재分析
다.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I. 서론
II. 현행 초등교사 평가제도 재이해
1. 승진 목적의 교사평가 제도 도입 배경 分析(분석) 필요
2. 승진목적 초등학교 교사평가 사례(instance) 分析(분석)
3. 현행 교사평가제 결점 재이해
4. 승진목적 교사평가제의 기여점: 승진과 교사평가 연계의 效果
III. 교사 유형론에 기초한 승진목적 교사 평가제도 improvement(개선) 방향 탐색
1. 학생교육중심형(A형) 교사
2. 학생교육∙승진 병행형(B형) 교사
3. 승진중심형(C형) 교사
4. 무기력형(D형) 교사
IV. 초등학교 교사평가 방향
1. 기본 방향
2. 초등학교에서의 교사평가 제도 improvement(개선)
3. 관련 제도 보완책: 부적격 교사 문제
V. 결론
다. 미국의 경우에는 교사 평가제도와 부적격 교사 퇴출제도는 서로 구분하고 있다아 우리의 경우도 이를 평가 목적에 포함시켜서 평가의 의미를 혼란스럽게 하기보다는 현행 교사징계제도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들이 제기하고 있는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skip)
우리 상황에 적합한 초등교사 평가제도 개선plan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의 교사평가 instance(사례)를 分析하고, 이어서 현행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에 마주향하여 살펴봤습니다.